경제상식 (54) 썸네일형 리스트형 가계의 가처분소득의 뜻 가처분소득 = 가계소득 - 가계지출 가계소득 가계소득은 크게 경상소득과 비경상소득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경상'이란 일정하다는 뜻이고 경상소득에는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이 있습니다. 경상소득 근로소득은 노동의 대가로 받는 소득입니다. 정규직, 비정규직 상관없이 모두 일해서 급여를 받으므로 모두 근로소득에 포함되지만 구분하기 위해 일반 근로소득과 일용 근로소득으로 분류합니다. 결국 급여에서 각종 세금을 제하고 난 후의 금액이 근로소득이 됩니다. 사업소득은 사업을 경영하여 얻는 소득입니다. 대표적으로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점포, 가게 등의 개인사업자들의 소득이며 이때 구분해야 하는 것은 회사를 경영하는 CEO라고 하더라도 월급을 받으면 사업소득이 아니라 근로소득입니다. 장사뿐 아니.. 미국과 한국의 양적완화 차이 양적완화란? 각국의 중앙은행은 보통 기준금리를 조절하여 통화량을 조절합니다. 시중에 자금이 돌지 않아 경색되면 금리를 내려 통화량을 늘리고 통화량이 많아 물가상승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것 같으면 금리를 올려 통화량을 줄입니다. 하지만 기준금리가 거의 0%대 인 데다가 회사채 등 여러 채권들의 금리가 도통 내려가지 않을 때 중앙은행은 직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시중의 많은 양의 채권들을 사들여 채권들의 금리를 낮추게 되고 이를 양적완화라 합니다. 미국의 양적완화 미국의 중앙은행인 FED는 양적완화를 위해 여러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우선 유동성 측면에서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을 한도 없이 매입하기로 하였습니다. 여기서 MBS는 개인이 주택담보대출을 받을때 은행이 가지게 된 주택담보대출 채권을 시장에서 거래할.. 경제가 어려우면 법인세를 낮춰야 할까? - 세금과 소득 분배 국가의 재정을 담당하는 세금은 우리가 알게 모르게 거의 매일 내고 있습니다. 거의 모든 상품에는 부가가치세 10%가 매겨져 있고 돈과 관련된 그 어떤 행동에도 모두 세금이 붙어 있습니다. 세금은 크게 국가에 지불하는 국세와 지방자치단체에 지불하는 지방세로 나뉩니다. 국세는 관세, 내국세로 나뉘고 내국세는 다시 보통세와 목적세로 나뉩니다. 보통세는 다시 간접세와 직접세로 나뉘고 이러한 세금들은 국가의 재정 수입뿐만 아니라 소득을 분배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간접세 간접세는 세금 납부자가 간접적으로 납부하는 세금입니다. 우리가 마트에서 과자를 사면 과자값과 부가가치세를 같이 지불하게 되는데 이 부가가치세는 제조사가 모았다가 나중에 한꺼번에 국세청에 납부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세금을 내는 자는 제조사이고 소비자.. 물가의 흐름을 어떻게 볼까? 단순물가지수 물가는 말 그대로 물건의 가격인데 이를 매년 또는 매월 비교하기 위해서 물가지수를 만들어 사용합니다. 물가지수에는 단순물가지수와 종합물가지수 2가지가 있습니다. 단순물가지수는 물건의 가격을 시기별로 단순 비교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쌀, 라면, 물, 휴대폰 4가지의 가격으로 물가지수를 정한다면 2019년 4가지의 가격의 합과 2020년 4가지의 가격의 합을 구하여 비교하는 것입니다. 물가가 오르거나 낮아진 것을 모두 더해서 2019년을 100으로 기준으로 하고 2020년의 물가지수를 구하는 것이죠. 계산이 매우 쉽지만 명백한 오류가 있는데 쌀, 라면, 물의 가격은 보통 휴대폰보다 매우 싸기 때문에 그것들의 가격 변동보다 휴대폰의 가격 변동이 물가지수에 더 많이 반영됩니다. 가령 휴대폰 가격은.. E로 시작하는 금융상품들(ETF, ELW, ELS, ELD) 주식은 그 의미가 쉬워 직장인이라면 첫 재테크 수단으로 생각하게 됩니다. 정작 주식 투자를 위해 HTS를 켜면 주식뿐만 아니라 선물, 옵션 등 투자할 수 있는 것이 엄청 많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중 오늘은 E로 시작하는 금융상품들을 묶어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ETF Exchang Traded Fund의 약자로 인덱스 펀드를 주식처럼 거래하는 파생상품입니다. 펀드는 한 번씩은 들어보셨을 텐데 개별 주식에 투자하지 않고 여러 개의 주식이나 채권 등을 묶어서 투자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주식형 펀드는 주식의 비중이 높은 펀드이고 채권형 펀드는 채권의 비중이 높은 펀드입니다. 인덱스펀드는 주가 지수에 투자하는 펀드로 가령 코스피 200의 주가지수와 연동이 된 펀드입니다. 마치 코스피 200의 모든 종목에 .. 미국산 소고기는 우리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농산물 시장 부분 개방에 따른 영향 우리나라 식량 자급률이 얼마나 되는지 아시는 분은 아마 드물 것입니다. 별 어려움 없이 마트나 슈퍼에 가면 먹을거리를 살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하는데요. 우리나라 식량 자급률은 2017년 기준으로 48.9%입니다. 아래 그래프를 보면 2011년 이후부터 50% 내외로 식량자급률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식량 중에 쌀은 100% 자급이 가능하나 보리, 콩은 20%대이고 밀, 옥수수는 5% 미만의 자급률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 수입 농산물이 들어온 것은 언제부터 일까요?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원조물자로 농산물을 들여오다가 1995년 WTO 가입 후 본격적으로 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 그보다 앞서 1994년에 우루과이라운드 농업협정이 있었는데 각국의 농산물 시.. 옵션 파헤치기(콜옵션, 풋옵션, 롱포지션, 숏포지션) 옵션의 뜻 금융시장에서 옵션은 미래의 거래를 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가령 어떤 물건을 3개월 뒤에 특정 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나 팔 수 있는 권리가 있다고 하면 전자를 콜옵션, 후자를 풋옵션이라고 합니다. 콜(call)은 부르다, 사다라는 의미이므로 콜옵션은 살 수 있는 권리를 뜻하고 풋(put)은 놓다, 버리다는 뜻이므로 풋옵션은 팔 수 있는 권리를 뜻합니다. 선물과 의미가 비슷해 보이지만 선물은 꼭 이행해야 하는 '의무'이고 옵션은 '권리'이기 때문에 나중에 권리를 행사해도 되고 안 해도 상관없습니다. 주식을 예로 들면 현재 500원짜리 주식이 있고 이때 3개월 뒤에도 500원에 살 수 있는 권리인 콜옵션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주식이 3개월 뒤에 1,000원이 되었을때 콜옵션을 행사.. 선물과 주식과의 관계 요즘 주식시장이 매우 요동치고 있습니다. 외국인이 엄청난 물량을 매도하여 코스피지수가 한 때 1400대로 내려왔지만 개인들이 이를 받아내며 1700대 선까지 회복하였습니다. 앞으로 코스피지수의 방향은 모르겠지만 대체적으로 선물시장은 현물시장을 예측하는데 참고가 됩니다. 그럼 왜 선물이 현물의 참고가 되는 것인지 선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선물의 뜻 선물은 미래의 거래를 뜻합니다. 선물이라는 용어가 나오면 제일 쉬운 예로 드는 것이 배추장사이죠. 배추농민은 배추 씨를 심은 순간부터 비가 얼마나 올지 풍년이 될지 모르기 때문에 미래 가격도 모릅니다. 그래서 배추농민은 도소매업자와 일종의 계약을 하게 되는데 배추를 수확할 때 특정한 가격으로 넘기겠다는 계약입니다. 가령, 11월에 배추 100포기를 1포기당.. 이전 1 2 3 4 5 6 7 다음